동화작가 권정생(權正生)은 ‘우리들의 하느님’ 이란 그의 저서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한번은 시내에 나갔다 돌아오려는데 버스비가 모자라 완행열차를 탔더랍니다. 기차 안에서 아주머니가 자리를 내주며 앉으라 했습니다. 곧 내린다며 사양 했지만 아주머니는 기어코 권선생을 앉혔습니다. 권선생은 자리에 앉아 무심코 아주머니께 혹시 교회 나가시는 분이 아니냐고 묻자, 아주머니는 반색을 하면서 그렇다고 대답했습니다. 어떻게 알았는지 신기해하면서 묻지도 않은 말을 들려주었습니다. 아주머니는 의성에 있는 시골교회 집사인데 십년 전에 이상한 체험을 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어느 날 바쁘게 집안일을 하고 있는데 거지가 구걸을 하러 왔습니다. 정신없이 일에 몰두하던 아주머니는 귀찮은 생각에 퉁명스럽게 ‘지금은 바쁘니 다른 데 가보라’며 거지를 내쫓았습니다. 그런데 돌아서 나가는 거지의 뒷모습을 보니 놀랍게도 예수님이었습니다. 깜짝 놀란 아주머니는 하던 일을 멈추고 허겁지겁 쌀을 한 대접 퍼서 달려 나가 보았으나 거지는 어디론지 사라지고 보이지 않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옆집으로 또 옆집으로 샅샅이 살펴보았지만 역시 허사였습니다. 집으로 돌아온 아주머니는 주저앉아 통곡을 했습니다. 그때부터 아주머니의 눈에는 낯선 사람도 예수님으로 보이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아주머니는 십년을 하루같이 만나는 사람을 모두 예수님으로 알고 대접을 했다는 것입니다. 이야기를 다하고 나서 아주머니는, “세상 사람이 다 예수님으로 보이니까 참 좋아요. 내가 할 수 있는 건 다 해드리고 싶어예”. 예수를 진리와 생명으로 고백한다는 것은 이 마음으로 사는 것이 아닙니까? 언제 예수께서 오신다 해도 맞이할 수 있도록 힘써 여호와를 알아야 합니다. 권선생은 이야기 끝에 여태껏 들은 설교 중에 진짜 설교를 들었다고 덧붙이고 있습니다. 예수 잘 믿어서 복 받은 이야기 말고, 예수 만나 삶이 변화된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우리의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너희는, 내가 주릴 때에 내게 먹을 것을 주었고, 목마를 때에 마실 것을 주었으며, 나그네로 있을 때에 영접하였고, 헐벗을 때에 입을 것을 주었고, 병들어 있을 때에 돌보아 주었고, 감옥에 갇혀 있을 때에 찾아 주었다' 할 것이다. 그 때에 의인들은 그에게 대답하기를 '주님, 우리가 언제, 주님께서 주리신 것을 보고 잡수실 것을 드리고, 목마르신 것을 보고 마실 것을 드리고, 나그네 되신 것을 보고 영접하고, 헐벗으신 것을 보고 입을 것을 드리고, 언제 병드시거나 감옥에 갇히신 것을 보고 찾아갔습니까?' 하고 말할 것이다. 임금이 그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진정으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여기 내 형제자매 가운데, 지극히 보잘 것 없는 사람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다' 할 것이다.(마태복음 25: 35~40, 새번역)
- 퍼온글 -
'기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0) | 2023.04.10 |
---|---|
강의 시간 교수 유형 및 학생 유형 (0) | 2023.03.31 |
진실 (0) | 2023.03.18 |
거짓말의 종류 (0) | 2023.03.18 |
성수노루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