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동식물)

너도 밤나무, 마로니에, 칠엽수는 같은 나무인가요?

by Ddak daddy 2015. 9. 22.

 

 

너도 밤나무, 마로니에, 칠엽수는 같은 나무인가요?        

 

답변 3

  • 답변

     

  • -칠엽수-

    계 : 식물계(Plantae)

    문 : 현화식물문(Anthophyta)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과 : 칠엽수과(Hippocastanaceae)

    속 : Aesculus

  •  


     

  • -너도 밤나무-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참나무목(Fagales)

    과 : 참나무과(Fagaceae)

    인터넷 참조

    마로니에는 식물분류가 안나오네요

    사람도 이름이 다르면 다른 사람이듯이

    나무도 이름이 다르면 다른나무 입니다(같은나무이름2개 제외)

     

  • 너도 밤나무와 칠엽수는 다른나무입니다.


    너도 밤나무는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귀한 나무입니다.

    너도 밤나무는 열매는 밤과 닮았으나 독성이 있어서 먹지 못하며

    혹, 약용으로 사용할 시 도토리 처럼 물에 우려내어 묵처럼 사용한다고 합니다

    마로니에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칠엽수과의 낙엽교목입니다.

    흔히 잎이 7개 난다하여 붙여진 "칠옆수"이며

    꽃은 5~6월에 피고 길이 20~30cm 되는 대형 원추 꽃차례가 나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칠엽수의 열매는 가시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1.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는 참나무과에 딸린 낙엽 교목이다. 울릉도의 특산 식물로 온대림을 대표하는 나무 종류 중 하나이다. 키는 20cm가량이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나 있다. 암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에 피는 암수한그루이다. 5월경에 암꽃은 가지 끝에 피고,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밤 모양의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나무껍질은 매끄럽고 회백색이며, 나무가 단단하여 건축재 · 가구재로 많이 쓰인다. 울릉도 특산 식물이다.

    너도 밤나무의 꽃과 열매입니다.(다음백과)


    2. 마로니에(서양 칠엽수)


    마로니에(프랑스어: marronnier, 학명: Aesculus hippocastanum)는 낙엽이 지는 교목으로서, 그 모양은 칠엽수와 매우 비슷하지만, 꽃차례의 곁가지가 크게 뻗어 큰 원추꽃차례를 이루는 점과 꽃잎이 짙은 분홍색을 띠는 점이 다르다. 또한 칠엽수와 달리, 열매의 바깥면에 밤송이와 같은 가시가 있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열매는 과 닮았지만, 사포닌글루코사이드가 들어있는 등 약한 독성을 띄고 있어서 먹을 수 없다.(위키백과)


    3. 칠엽수


    칠엽수(七葉樹)는 원산지가 일본입니다.

    칠엽수과에 딸린 난엽교목으로 7개의 잎이 달린다하여 칠엽나무라고도 부릅니다.

    키는 25m 가량이며 나무껍질은 매끈하고 잎은 넓은 손바닥 모양입니다.

    꽃은 5~6월에 피며 일본 특산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정원수.가로수로 심습니다.

    나무결이 고와서 각종 가구의 재료로 쓰이기도 합니다. (팁의 지난글에서 발취)



    칠엽수와 가시칠엽수(마로니에)의 열매



    파비아칠엽수도 있습니다.

    (이명;미국칠엽수,붉은칠엽수,빨간꽃칠엽수,잇꽃칠엽수,빨간칠엽수 )




    붉은꽃칠엽수 입니다.

    붉은꽃칠엽수(A.×carnea)는 서양칠엽수와 아이스쿨루스 사비아(A. savia)의 잡종입니다,

    키가 12m까지 자라는 소교목이고 살색에서 주홍색의 꽃이 수상꽃차례를 이루어 핍니다.

    교배종으로 줄기끝에 7개의 잎과 붉은꽃이 붉은꽃 칠엽수로 부릅니다.

    꽃은 5월에 수상꽃차례로 핍니다.

    본종인 칠엽수보다 꽃이 좀 빨리 핍니다.

    씨앗의 껍질엔 가시가 거의 없이 밋밋합니다.


     

  • 너도밤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으로 마로니에, 칠엽수와는 전혀 다른 나무입니다.

    마로니에는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서양칠엽수라고도 합니다.

    한국에는 외국에서 들어온 서양칠엽수와 칠엽수를 공원수나 정원수로 심고 있는데, 서양칠엽수를 흔히 프랑스에서 부르던 이름 그대로 마로니에(marronnier)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마로니에는 서양칠엽수 이고 칠엽수와는 다른 나무 입니다.

    즉 너도밤나무, 마로니에, 칠엽수 모두 다른 나무 입니다.

  •  

     

  •  

     

  •